[공정언론뉴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학 나노기반(인프라) 시설·장비 고도화를 통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나노분야 연구·산업 수요에 대한 개방형 서비스를 확대하고, 국제 현안인 반도체 기술개발․인력양성 지원을 위해 ‘대학나노기반(인프라) 혁신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하였다.
지난 6월 25일부터 3개 권역을 대상으로 30일 이상 공고하여 접수된 제안건(권역1 3개, 권역2 3개, 권역3 2개)에 대해 과제수행 계획, 연구자의 역량, 기존 팹시설의 준비 정도, 개방형 서비스 및 인력양성에 대한 경험과 의지 등을 두 차례에 걸쳐 엄격히 평가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대학들은 향후 3년동안, 보유하고 있는 나노팹 시설·장비를 고도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권역의 연구․산업 관련 팹시설 이용수요를 개방형서비스 기능을 강화하여 지원하게 된다.
기존에도 개방형 서비스를 수행해온 대학들이 있지만, 이번 투자를 계기로 한층 고도화된 팹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이번에 선정된 6개 대학은 기존 6대 국가나노기반(인프라) 기관들과 협력하여, 각 권역별로 지역나노기반 협력체계를 갖추고 해당 지역의 연구․산업․인력양성 수요지원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동 사업은 향후 3년동안 3개 연합체(컨소시엄)에 총 270억원을 지원한다. 각 연합체별로는 3년간 연 30억원, 총 90억원을 지원하게 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국내에 산재된 나노기반 역량을 통합․연계하여 공동 지원하는 일괄(원스톱)서비스 시스템 구축도 추진 예정이다.
종전까지는 수요자가 개별 나노팹과 접촉하여 서비스를 의뢰하고, 해당 팹의 서비스 수준을 넘어서는 범위에 대해서는 국내 또는 해외의 다른 팹을 조사하여 본인이 직접 여러차례에 걸쳐 추가의뢰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 나노팹들간의 장벽을 허물고 통합 접수․서비스가 가능한 원스톱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동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수요자의 요청내역을 분석하여 기관간 연계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기능(코디네이터 기능)도 필수적이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대학나노기반(인프라)혁신사업과 나노기반(인프라)연계지원사업은 지난 4월 수립된「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나노팹고도화 정책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다”라고 하며,
“이번에 선정된 대학들이 기존 국가나노기반(인프라)들과 역할을 잘 분담하여, 지역의 나노․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시제품 제작, 인력난 해소 등에 많은 기여를 해줄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산재된 나노기반(인프라) 역량을 결집하여 일괄공정 수준의 팹서비스를 통해 난이도가 높은 서비스 수요 대응에도 큰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