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언론뉴스]새만금 데이터센터 산업 클러스터, 디지털 종자·식품산업 혁신 플랫폼 등 4차산업혁명 대비와 기후변화 대응, 사회안전망 강화를 정책 골자로 하는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이 본모습을 드러냈다.
‘전북형 뉴딜 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송하진 도지사, 임성진 교수)’는 7일「그린뉴딜1번지, 생태문명의 수도 전라북도」를 비전으로 9대 분야 27개 중점과제, 8대 대표 브랜드 사업을 담은「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은 2025년까지 총 20조 7,800억원을 투자하여 ‘재생에너지 2550 실현, 디지털산업 2배 성장, 일자리 21.8만개 창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 및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송하진 도지사는 “지난 한 해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지정, 2021년 국가예산 8조원시대 개막 등 도정을 위해 숨 가쁘게 뛰어왔다”며 “시대적 과제인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북형 뉴딜’정책으로 전라북도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만들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공동위원장인 임성진 교수는 “전북형 뉴딜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하고 스마트한 미래를 열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발전 전략이다. 이번 종합계획이 미래를 선도하는, 전북 대전환의 계기가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전라북도는 「전북형 뉴딜 종합계획」에서 도출한 '9대 분야의 27개 중점과제’는 디지털뉴딜·그린뉴딜·안전망 강화의 3대 정책 방향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디지털 뉴딜을 통해 전북경제 전반에 디지털 혁신을 확산시킬 구상이다. 25년까지 총사업비 3조 8,689억원이 투자되며 일자리 4.9만개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북의 특산품 그린뉴딜은 전북형 뉴딜로 더욱더 단단하게 다져 그린뉴딜 1번지로 거듭난다는 방안이다. 25년까지 총사업비 15조 8,632억원을 투자하여 일자리 15.2만개를 만들 계획이다.
▲전북형 뉴딜 인재 양성과 ▲디지털 돌봄·포용의 2개 분야, 4개 핵심과제에 '25년까지 1조 479억원투자, 일자리 1.7만개를 창출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전북의 지역적 특장점을 반영한 8대 대표브랜드 사업을 선정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간 전북도는 지난 5월부터 한국판 뉴딜 대응추진단을 구성하여 한국판 뉴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 발표」(7.14.) 이후에는 도지사를 중심으로 한 ‘전북형 뉴딜 추진위원회’를 출범(8.14.)하였다.
9월 실무추진단 회의에서는 215건 4조 7,028억원 규모의 사업을 발굴했으며 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10.21.)에서는 50건, 4조 2,872억원의 사업을 추가 발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계 전문가들이 포함된 실·국·원별 협의체는 실행력을 갖춘 실·국·원별 추진계획을 세웠다.
이와 함께 전북도는 도 내외 뉴딜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먼저 시·군과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12.2.) 도민 제안 공모(8.20.)와 공공기관·대학·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토론회·포럼 등을 통해 정책 방향과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또한 경북도 등과 협력하여 발굴한 초광역 프로젝트인 동서내륙경제벨트 사업 등도 종합계획에 담았다.
전북도는 앞으로 전북형 뉴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정책을 개선·보완해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우선 전북형 뉴딜 예산으로 확보한 사업은 신속하게 추진하고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실행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신규사업의 경우 당위성 등 논리를 보강하여 국비를 확보하고 도-시·군 자체재원사업과 초광역사업 및 공공기관과 연계한 사업도 적극 발굴하려고 한다. 시·군 및 공공기관·대학 등과 꾸준히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도민 의견도 계속 수렴하여 전북형 뉴딜정책을 진화시킬 계획이다.
송하진 도지사는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위기와 4차산업혁명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전북형 뉴딜에 담았으며 ‘그린뉴딜 1번지, 생태문명의 수도, 전라북도’가 되도록 정밀하게 추진하겠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