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8주년을 맞이한 국경일, 광복절.
국경일이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기념하기 위해 법률로 지정한 날이다. 그중 삼일절과 광복절은 일본의 강제 점령과 관련되어 있다. 삼일절은 조선인들이 일본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기 위한 독립운동의 시작일이고, 광복절은 대한민국이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대한민국의 독립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념일이다.
올해로 광복 78주년을 맞는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패망했고, 조선인민국은 독립을 선언했다. 1948년 8월 15일에는 그토록 염원하던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불굴의 인간 정신과 자유를 향한 끈질긴 추구의 증거로서, 우리 민족이 자결권과 자치권을 주장하며 억압의 사슬에서 벗어난 순간으로서 8월 15일은 우리에게 큰 의미가 있다.
광복절에는 이날이 상징하는 성과를 인정하고 기념해야 한다. 우리 민족은 일본의 폭압 속 역경을 극복하고 폭정에 맞서 단결했다.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정의와 평등, 그리고 우리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를 위해 싸운 수많은 개인들의 치열한 노동의 결실이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끝까지 처절하게 투쟁했던 선조들이 없었다면 우리는 현재 다른 삶을 살고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이 땅에 드리운 어두움을 몰아내고 “빛을 되찾아 준” 순국선열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자유의 승리를 진심으로 축하하는 것이 마땅하다.
우리는 어떤자세로 나아가야 하는가?
하지만 광복절을 환희와 기쁨의 시간으로만 마주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성찰의 기회로도 삼아야 한다. 자유를 향한 여정은 오늘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광복을 끌어 낸 원칙들이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앞으로도 계속 형성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에 여전히 경제적·사회적 불평등, 정치적 도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선조들이 구상했던 꿈이 아직 완전한 실현에 이르지 못했다.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우리가 애초에 꿈꾸었던 민주국가로서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단결과 포용을 바탕으로, 분열을 해소하고 모든 국민이 귀감이 되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 더욱이, 교육의 힘과 대화, 그리고 적극적인 시민 참여가 필요한 때다. 비판적 사고와 시민 담론의 문화 육성을 통해 이 나라의 발전을 위협하는 도전을 꿋꿋하게 맞서 해결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이 세대가 식민 지배의 아픔이 어떤 것인지, 망국의 설움과 치욕스러운 역사에 대해 감히 가늠할 수 없을지라도, 광복 78주년을 맞이하면서, 우리 민족이 싸웠던 이상이 현재와 미래에도 실현될 수 있도록 우리의 자유를 위해 길을 닦은 사람들의 유산을 기리고, 앞으로 다가올 세대를 위해 길을 닦아야 할 것이다.
겉으로는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를 맞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 계승이 사라져가고 있어 심히 우려되고 안타까운 것도 사실이다. 광복절은 정의와 평등이 단순한 열망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로 우리 삶에 살아있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새로운 약속과 함께 굳건하게 존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