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2024년 교통 혁신의 해를 맞아 대중교통 정책을 대대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The 경기패스, 똑버스,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라는 3대 핵심 정책을 통해 도민들의 이동 편의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정책들은 단순한 서비스 개선을 넘어 교통비 절감, 사각지대 해소, 공공성 강화라는 종합적 목표를 추구하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5월 시행된 The 경기패스는 국토교통부의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만의 추가 혜택을 더한 교통비 환급 정책이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요금의 20%에서 최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 특히, K-패스가 월 60회까지 환급 한도를 제한한 것과 달리, 경기패스는 무제한으로 환급 혜택을 제공하며 청년층(19~39세)에는 30% 환급 혜택을 확대했다.
12월 현재 가입자는 107만 명에 달하며, 경기패스 가입자의 80%가 환급 대상으로 평균 월 2만 원을 돌려받고 있다. 하지만 환급 혜택은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도민들에게 주로 집중되고 있어, 대중교통 이용 빈도가 낮은 계층에게는 혜택의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도는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 대상을 확대하고, 경기패스를 도내 다른 교통 정책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똑버스는 도민 맞춤형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로,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승객의 호출에 따라 운행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중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 지역과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2021년 시범 도입 이후 현재 16개 시군에서 224대가 운행 중이며, 연말까지 19개 시군으로 확장해 약 40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만족도 조사에서 83%의 이용자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호출 대기 시간이나 운행 빈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 도는 서비스 품질 평가를 통해 개선 사항을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똑버스. (사진=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올해 1월부터 시행된 경기도형 준공영제로, 버스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노선별 종합평가를 통해 매년 서비스 품질을 점검하고, 3년 단위로 갱신 여부를 결정해 안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한다. 공공관리제는 운수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하고 도민들에게 더 안전하고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초기 시행 단계인 만큼, 공공관리제 확대에 따른 재정부담과 버스 운영 효율성 문제가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비 절감 및 노선 효율화 등 재정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는 교통비 절감,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 서비스 품질 개선이라는 목표 아래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