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용 회장 및 연구회 위원, 관계자들이 'AI 행동패턴 기반 학교시설복합화 연구회' 착수 보고회를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의희)>
경기도의회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학교시설 복합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I 행동패턴 기반 학교시설복합화 연구회'는 19일 교육행정위원회 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연구회 회장인 김근용 의원을 비롯해 8명의 의원과 경기도교육청 관계자, 연구용역 수행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김근용 의원은 "학교시설을 교육적 용도를 넘어서 지역사회와 연계해 복합시설로 활용할 시점이 됐다"며 "AI를 활용한 행동패턴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맞춤형 복합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의 핵심은 빅데이터와 AI 모델을 통해 주민 수요를 세밀히 예측해 맞춤형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의 물리적 공간 공유에 그쳤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학교시설 복합화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 결과는 학교시설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교육 인프라를 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 수행기관인 ㈜두구다의 송리나 대표는 "공공데이터를 비롯한 신용카드데이터, 건강보험, 교통, 통신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별 주민 수요를 예측하고, 경기도 맞춤형 복합화 모델을 설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학교시설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교육 인프라를 넘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교육청도 복합화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AI 기반 연구가 더욱 세밀한 예측과 정책 설계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연구회와 협력해 성과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AI 행동패턴 기반 학교시설복합화 연구회'는 경기도의회 의원 12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3개월간 진행돼 2025년 3월 3일까지 완료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