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민주주의의 근간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언론은 그 역할을 잃어가고 있다.
언론은 권력을 감시하고 국민에게 진실을 전달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 대한민국 언론은 본연의 역할을 잃었다. 편향된 보도와 왜곡, 심지어 의도적인 오보까지 빈번하다. 이로 인해 국민의 신뢰는 추락하고, 사회적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23년 영국 디지털 뉴스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 언론의 신뢰도는 47개국 중 38위에 머물렀다. 국민이 언론을 더 이상 믿지 않는 현실을 드러내는 통계다. 진보와 보수로 갈라진 언론은 국민을 하나로 모으기는커녕 대립과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 MBC는 진보 성향의 시청자에게, TV조선은 보수 성향의 시청자에게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이 그 예다.
더 큰 문제는 편향된 보도가 사실 왜곡과 오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최근 한 언론이 보도한 주한미군 관련 허위 보도도 논란이 됐다. 특정 언론이 “중국 국적자 99명이 체포돼 주일미군 기지로 압송됐다”는 기사를 냈지만, 주한미군은 이를 "전적으로 거짓"이라고 반박하며 허위 사실임을 명확히 밝혔다.
이처럼 의도적이든 아니든 잘못된 보도는 국민에게 혼란을 주고, 언론 전체의 신뢰를 떨어뜨린다. 언론은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대신 특정 진영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며 국민을 혼란에 빠뜨렸다.
언론은 지금이라도 스스로를 바꿔야 한다. 먼저, 팩트체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허위 보도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한다. 제주 4·3 사건 당시 허위 보도가 도민들에게 끼친 고통을 기억해야 한다. 언론 내부적으로 팩트체크 시스템을 강화하고, 허위 보도에 대한 공개적 사과와 명확한 책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허위 보도 방지를 위한 제재 방안도 강화해야 한다. 노르웨이와 같은 국가에서는 언론 윤리 위원회가 편향적이거나 사실을 왜곡한 보도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가한다. 한국도 이를 본받아 독립적인 언론 감시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 이러한 기구는 허위 보도를 감시하고, 반복적 위반 사례에 대해 벌금이나 정정 보도 의무화를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해야 한다. 공영방송은 영국 BBC처럼 정치적 간섭에서 철저히 독립해야 한다. BBC는 운영 위원회를 통해 정치권의 개입을 차단하고 신뢰받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도 공영방송의 구조를 전면적으로 개혁해 정치와 자본으로부터 독립시켜야 한다.
더불어, 다양한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 노르웨이 언론 윤리 위원회처럼 특정 진영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잡힌 보도를 제공하기 위해 언론 종사자들에게 객관성과 윤리적 책임을 강조하는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언론이 자극적인 보도를 지양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클릭 수와 조회수를 위해 선정적이고 과장된 제목을 남발해서는 안 된다. 사실을 전달하고 진실에 기반한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변화는 언론만의 몫이 아니다. 국민도 언론 소비 방식을 바꿔야 한다. 허위 정보에 흔들리지 않으려면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사실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의심스러운 기사는 공유 전에 반드시 검증해야 한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언론사를 구독하고 지역 언론이나 신생 언론을 지원함으로써 더 다양한 목소리가 공론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은 언론 환경을 요구하는 시민적 움직임도 중요하다. 공영방송의 독립성을 보장하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편향적 보도에 책임을 묻는 집단적 행동에 참여해야 한다.
언론이 바로 서지 않으면 민주주의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변화는 가능하다. 언론이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이 진실을 요구할 때 민주주의도 다시 건강해질 것이다. 언론이 바로 서면 정치도 바로 선다. 사회도 건강해질 것이다. 그것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