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경기도청 유투브 캡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일 열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독립운동가와 순국선열의 희생이 오늘날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며 “그 정신을 계승해 국민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수원박물관에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독립유공자 후손, 시민,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3·1운동의 정신이 살아 있는 한 우리의 민주주의와 자유, 정의는 더 나아갈 수 있다”며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결실을 맺은 대한민국에서 국민이 걱정 없이 행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기념사에서 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의 서거를 애도하며, “마지막까지 우리 곁에 남아 계셨던 여성 독립운동가의 애국심과 헌신을 국민과 함께 영원히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독립선언서를 낭독할 예정이었던 오성규 애국지사의 건강 회복을 기원하며, “지사님께서 꼭 참석하시겠다는 의지가 강하셨지만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로 참석하지 못하셨다”며 조속한 쾌유를 바랐다.
김 지사는 3·1운동이 단순한 독립운동이 아니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출발점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3·1운동 이후 학생들은 독립운동의 중심 세력이 되었고, 여성들은 근우회를 결성해 사회운동의 주역으로 자리 잡았다. 노동자와 농민들도 조직적인 저항을 이어가며 독립운동을 확산시켰다”며 3·1운동의 영향을 설명했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을 넘어 민주공화국을 설계한 과정도 언급했다.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5차례 개헌을 통해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구상했고, 임시헌장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명시했다”며 “이 정신이 지금의 대한민국 헌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38년이 지난 ‘87년 체제’는 한계에 도달했다”며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헌장의 정신을 이어받아 새로운 개헌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 통제 강화, 경제·사회적 권리 보장, 대통령 결선투표제 도입 등을 포함한 개헌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국민이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법적·제도적 틀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의 역사정책을 비판하며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문제, 역사 왜곡 등으로 국민을 분열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독립기념관을 건립해 “역사와 미래, 지역과 세계를 잇는 대한민국 정신의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기념사를 마무리하며 “3·1운동이 독립과 민주주의를 향한 길을 열었듯이, 오늘을 사는 우리는 국민 모두가 걱정 없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며 “독립운동가들이 꿈꾼 대한민국을 실현하기 위해 함께 나아가자”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 역사 강연, 독립운동 유적지 답사, 여성 독립운동 탐방 프로그램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