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이전 중단에 백경현 구리시장 강력 반발… 지역사회 갈등 확산
서울 편입 추진과 GH 유치, 양립 가능한가 논란
구리시의회 “이율배반적 졸속행정” 강력 질타
김용현 “경기도 주장 자체가 법적 모순… 계획 변경도 위법”
2025.03.20 18:41 입력
조회 3,814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20일, 백경현 구리시장이 GH 이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사진=구리시)>
경기도의 GH(경기주택도시공사) 구리 이전이 전면 중단되며 정치권과 지역사회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중심에 선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은 협약을 지켜야 할 사안”이라며 경기도를 향해 강하게 반발했고, 구리시의회와 도는 서울 편입 추진과의 양립 불가성을 지적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편입이라는 장기 의제와 GH 이전이라는 실익 사업이 충돌하는 상황 속에서, 협약 파기 논란과 의회 출석 문제까지 더해지며 시정은 안팎으로 흔들리고 있다.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민들의 피로감도 점차 커지고 있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GH 구리 이전에 대한 경기도의 전면 중단 발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2021년 협약과 행정절차에 따라 9차례 실무 협의를 해왔고, 예산 투입과 도시계획 변경까지 마친 상태에서 기자회견 한 번으로 일방적인 중단 통보를 받은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서울 편입 추진과 관련해서는 “2006년부터 여야 정치권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사안으로, 시민 여론조사 결과 찬성 비율이 66.9%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백 시장은 “서울 편입 연구용역은 시의회가 승인한 것이며, GH 유치는 서울 편입과 병행 가능한 사업”이라며 “경기도가 이를 정치적 도구로 삼고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입장이 다르다. 2월 21일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구리시장이 서울 편입과 GH 유치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서울시에 편입될 수 있는 구리시로 이전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북부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라며 구리시의 행보에 유감을 표명했다.
구리시의회는 더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신동화 의장은 입장문을 통해 “서울 편입과 GH 유치는 양립할 수 없는 이율배반적 졸속행정”이라며 “백 시장의 모호한 태도가 5년간의 유치 노력을 무산 위기로 몰아넣었다”고 질타했다. 또한 “의회 출석은 시민에 대한 도리이며 의무”라며 2월 24일 임시회 출석을 촉구했다.
김용현 시의원도 지난 14일 5분 발언을 통해 “GH 이전과 서울 편입이 양립 불가라는 경기도의 논리는 모순”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서울 편입은 경기도와 서울시의 합의로 가능하며, GH 이전은 경기도의회 승인까지 거친 행정행위로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GH 이전 중단은 행정절차법 위반이며, 법적으로 대응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20일, 백경현 구리시장이 GH 이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를 향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사진=구리시)>
경기도의 GH(경기주택도시공사) 구리 이전이 전면 중단되며 정치권과 지역사회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중심에 선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은 협약을 지켜야 할 사안”이라며 경기도를 향해 강하게 반발했고, 구리시의회와 도는 서울 편입 추진과의 양립 불가성을 지적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편입이라는 장기 의제와 GH 이전이라는 실익 사업이 충돌하는 상황 속에서, 협약 파기 논란과 의회 출석 문제까지 더해지며 시정은 안팎으로 흔들리고 있다.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민들의 피로감도 점차 커지고 있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GH 구리 이전에 대한 경기도의 전면 중단 발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2021년 협약과 행정절차에 따라 9차례 실무 협의를 해왔고, 예산 투입과 도시계획 변경까지 마친 상태에서 기자회견 한 번으로 일방적인 중단 통보를 받은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서울 편입 추진과 관련해서는 “2006년부터 여야 정치권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사안으로, 시민 여론조사 결과 찬성 비율이 66.9%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백 시장은 “서울 편입 연구용역은 시의회가 승인한 것이며, GH 유치는 서울 편입과 병행 가능한 사업”이라며 “경기도가 이를 정치적 도구로 삼고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입장이 다르다. 2월 21일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구리시장이 서울 편입과 GH 유치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서울시에 편입될 수 있는 구리시로 이전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북부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라며 구리시의 행보에 유감을 표명했다.
구리시의회는 더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신동화 의장은 입장문을 통해 “서울 편입과 GH 유치는 양립할 수 없는 이율배반적 졸속행정”이라며 “백 시장의 모호한 태도가 5년간의 유치 노력을 무산 위기로 몰아넣었다”고 질타했다. 또한 “의회 출석은 시민에 대한 도리이며 의무”라며 2월 24일 임시회 출석을 촉구했다.
김용현 시의원도 지난 14일 5분 발언을 통해 “GH 이전과 서울 편입이 양립 불가라는 경기도의 논리는 모순”이라며 반박했다. 그는 “서울 편입은 경기도와 서울시의 합의로 가능하며, GH 이전은 경기도의회 승인까지 거친 행정행위로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GH 이전 중단은 행정절차법 위반이며, 법적으로 대응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