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길 경기도의회 의원과 진건고등학교 학무모회 위원들이 학부모 정담회에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사진=이병길 의원실)>
이병길 경기도의회 의원(국민의힘, 남양주7)은 진건고등학교에서 학부모 정담회를 열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25일, 개최된 정담회에는 진건고 교장과 교감을 비롯한 학교 관계자, 학교운영위원장 및 운영위원 12명이 참석해 학교가 당면한 주요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진건고는 현재 학생 1,081명, 교직원 105명이 재직 중인 대형 고등학교로, 시설 대비 과밀도가 높고 공간 부족이 심각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현장에서는 특히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다양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지만, 교실 수 부족으로 정상 운영이 어렵다는 지적이 집중됐다. 참석자들은 중·장기적으로 신축 등 공간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교실 문이 철제로 설치돼 정서적 위축과 소음,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학부모들은 “개폐 시 소음이 심하고, 추운 이미지가 학습 분위기에도 영향을 준다”며 나무 미닫이문 등의 교체를 요청했다.
단열이 되지 않는 창호로 인해 난방 효율이 떨어져 겨울철 수업 집중도가 낮다는 의견, 급식실이 두 개 층에 분산돼 있어 이동과 관리에 불편이 따른다는 문제도 나왔다. 특히 엘리베이터 고장 시 급식 제공이 지연되는 사례도 언급됐다.
특히, 복도와 교실 사이 공간이 좁아 사물함 이용이 불편하고, 학점제 도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특별실도 문제로 지적됐다. 학교 측은 자체 예산을 절약해 도색 등 일부 환경개선 사업을 진행했지만, 근본적인 시설 확충에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 의원은 “고교학점제 확대 시행에 따라 과목 수는 늘었지만 교실은 그대로인 현실이 심각하다”며 “정서적 안정과 안전 확보를 위한 교실 구조 개선, 단열 미비, 급식 운영 불편 등 학생 생활 전반에 직결되는 문제들이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현장에서 나온 모든 의견을 가볍게 듣지 않겠다”며 “도의원으로서 경기도교육청과 협의해 예산 확보와 정책 개선을 병행해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우리 아이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정책 반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학교와 지역사회, 학부모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교육환경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병길 경기도의회 의원과 진건고등학교 학무모회 위원들이 학부모 정담회에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사진=이병길 의원실)>
이병길 경기도의회 의원(국민의힘, 남양주7)은 진건고등학교에서 학부모 정담회를 열고,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25일, 개최된 정담회에는 진건고 교장과 교감을 비롯한 학교 관계자, 학교운영위원장 및 운영위원 12명이 참석해 학교가 당면한 주요 현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진건고는 현재 학생 1,081명, 교직원 105명이 재직 중인 대형 고등학교로, 시설 대비 과밀도가 높고 공간 부족이 심각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현장에서는 특히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라 다양한 교과목 개설이 필요하지만, 교실 수 부족으로 정상 운영이 어렵다는 지적이 집중됐다. 참석자들은 중·장기적으로 신축 등 공간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교실 문이 철제로 설치돼 정서적 위축과 소음,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학부모들은 “개폐 시 소음이 심하고, 추운 이미지가 학습 분위기에도 영향을 준다”며 나무 미닫이문 등의 교체를 요청했다.
단열이 되지 않는 창호로 인해 난방 효율이 떨어져 겨울철 수업 집중도가 낮다는 의견, 급식실이 두 개 층에 분산돼 있어 이동과 관리에 불편이 따른다는 문제도 나왔다. 특히 엘리베이터 고장 시 급식 제공이 지연되는 사례도 언급됐다.
특히, 복도와 교실 사이 공간이 좁아 사물함 이용이 불편하고, 학점제 도입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특별실도 문제로 지적됐다. 학교 측은 자체 예산을 절약해 도색 등 일부 환경개선 사업을 진행했지만, 근본적인 시설 확충에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 의원은 “고교학점제 확대 시행에 따라 과목 수는 늘었지만 교실은 그대로인 현실이 심각하다”며 “정서적 안정과 안전 확보를 위한 교실 구조 개선, 단열 미비, 급식 운영 불편 등 학생 생활 전반에 직결되는 문제들이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현장에서 나온 모든 의견을 가볍게 듣지 않겠다”며 “도의원으로서 경기도교육청과 협의해 예산 확보와 정책 개선을 병행해 실질적인 변화가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우리 아이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정책 반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학교와 지역사회, 학부모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교육환경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