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간담회 열어… “피해자 보호·홍보 강화해야”
유관기관·전문가 참여… 예방 정책과 피해자 지원 방안 논의
도,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이후 첫 공식 대응… 협업체계 구축 본격화
2025.03.28 11:57 입력
조회 3,880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27일, 경기도가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 및 유관 기관의 전문가들과 보이스피싱 등과 관련한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과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경기도는 지난 27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찰청,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제로사무국, KT, SK텔레콤, 법조계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대응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도가 지난달 발표한 전기통신금융사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첫 공식 대응 조치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해당 피해를 입은 도민의 1인당 평균 피해액은 810만 원에 이르며, 피해 예방과 피해자 지원 정책이 시급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이날 간담회에서 백의형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피싱범죄수사계장은 “통신기술이 고도화되고 금융거래 방식이 편리해질수록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며 “경찰청과 경기도가 협업하면 보다 실효성 있는 피해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취현 변호사(와이법률사무소)는 “피해금액을 되찾기 어려운 전기통신금융사기 특성상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예방 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보이스피싱 조직이 도민을 ‘수거책’ 등 범죄에 연루되게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예방 교육과 캠페인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서봉자 경기도 공정경제과장은 “전문가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도와 유관기관이 협력해 도민이 전기통신금융사기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7일, 경기도가 경찰청,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 및 유관 기관의 전문가들과 보이스피싱 등과 관련한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과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경기도는 지난 27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찰청,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제로사무국, KT, SK텔레콤, 법조계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대응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도가 지난달 발표한 전기통신금융사기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첫 공식 대응 조치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해당 피해를 입은 도민의 1인당 평균 피해액은 810만 원에 이르며, 피해 예방과 피해자 지원 정책이 시급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이날 간담회에서 백의형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피싱범죄수사계장은 “통신기술이 고도화되고 금융거래 방식이 편리해질수록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며 “경찰청과 경기도가 협업하면 보다 실효성 있는 피해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취현 변호사(와이법률사무소)는 “피해금액을 되찾기 어려운 전기통신금융사기 특성상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며 “예방 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보이스피싱 조직이 도민을 ‘수거책’ 등 범죄에 연루되게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예방 교육과 캠페인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서봉자 경기도 공정경제과장은 “전문가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도와 유관기관이 협력해 도민이 전기통신금융사기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