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청년농업인 맞춤 지원 강화…농지은행 제도 개선 박차

청년농 농지 구입 예산 확대·공공임대농지 개선·스마트팜 집단화 추진
'청년농 협의체' 중심 의견 수렴 체계화…현장 불편 해소에 중점
농업의 미래인 청년 정착 지원에 역량 집중할 것

2025.03.28 11:16 입력 조회 3,712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청년농업인 목소리를 담아 농지 지원을 강화합니다.jpg
<한국농어촌공사 전경. (사진=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어촌공사가 청년농업인의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위해 농지은행 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공사는 28일, 청년농업인 중심의 ‘청년농 협의체’를 기반으로 불편 사항을 수렴하고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는 청년층의 농지 접근성 강화를 위해 농지 구입과 임차, 스마트팜 지원 예산을 전년 대비 대폭 확대했다. 자부담 없이 농지를 임차 후 매입할 수 있는 ‘선임대후매도’ 사업 예산은 전년보다 22억 원 늘어난 193억 원, 자부담이 필요한 ‘농지매매사업’ 예산도 213억 원 증가한 953억 원으로 편성했다. 이에 따라 농지 구입 단가 역시 ㎡당 2만6,700원에서 3만8,500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임대 농지 이용 편의성도 강화됐다. 매주 화요일로 농지 공고 일자를 고정해 청년농업인의 불편을 줄였고, 농업용 시설물 설치 신청 기한도 계약 후 1년에서 계약 기간 내로 확대해 영농계획 수립이 유연해졌다.


스마트팜 사업도 내실화를 꾀하고 있다.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 사업은 공동 영농이 가능하도록 집단화 모델을 도입했고, 기존에 농지를 보유한 청년농업인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공사는 청년농업인과 지자체, 유관기관이 함께하는 ‘지역 협의체’와 ‘중앙 협의체’를 통해 실시간 의견을 수렴하고, 올해 상반기 중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반영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공공임대농지에서 가루쌀 경작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한 것이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이영훈 농지은행처장은 “청년농업인의 현실적인 요구를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농지은행을 통해 청년농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동부권취재본부 기자 edit@fp-news.co.kr]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