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인공지능(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회를 본격 가동하며 객관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 체계 마련에 속도를 낸다.
이번 연구회는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정책 실행형 연구회로, 도내 학교 현장의 평가 혁신을 목표로 한다. 지난 10일 마감된 연구회 공모에는 총 29개 학교가 지원했고, 고등학교는 7.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큰 관심을 모았다.
도교육청은 공정한 심사를 거쳐 초등학교 2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3곳 등 총 7개 학교를 연구회 운영교로 선정했다. 이들 연구회는 학교급별로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을 시범 적용하고, 운영 과정에서의 검증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 교과별 루브릭 등 평가 도구를 개발해 일반 학교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도교육청은 28일 선정된 연구회 운영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설명회는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의 기조 발제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시작으로, 운영 사례 발표와 연구 방향 토론이 이어졌다.
설명회에 참석한 교원들은 현장 적용 가능성과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다양한 제안을 제시하며 열의를 보였다. 김연경 봉담고 영어 교사는 “AI 기반 채점 시스템은 교사의 부담을 줄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현장에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은 “AI 기반 평가가 공정하고 신뢰도 높은 시스템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현장의 참여가 필수”라며 “교원 역량 강화와 연구 결과 확산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오찬숙 경기도교육청 디지털인재국장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인공지능(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회를 본격 가동하며 객관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 체계 마련에 속도를 낸다.
이번 연구회는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정책 실행형 연구회로, 도내 학교 현장의 평가 혁신을 목표로 한다. 지난 10일 마감된 연구회 공모에는 총 29개 학교가 지원했고, 고등학교는 7.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큰 관심을 모았다.
도교육청은 공정한 심사를 거쳐 초등학교 2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3곳 등 총 7개 학교를 연구회 운영교로 선정했다. 이들 연구회는 학교급별로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 시스템을 시범 적용하고, 운영 과정에서의 검증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 교과별 루브릭 등 평가 도구를 개발해 일반 학교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도교육청은 28일 선정된 연구회 운영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설명회는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의 기조 발제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 기반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시작으로, 운영 사례 발표와 연구 방향 토론이 이어졌다.
설명회에 참석한 교원들은 현장 적용 가능성과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다양한 제안을 제시하며 열의를 보였다. 김연경 봉담고 영어 교사는 “AI 기반 채점 시스템은 교사의 부담을 줄이고 학생 맞춤형 교육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현장에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찬숙 디지털인재국장은 “AI 기반 평가가 공정하고 신뢰도 높은 시스템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현장의 참여가 필수”라며 “교원 역량 강화와 연구 결과 확산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