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관계 인사들이 '그린 AI 성장전략 세미나'를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소영 의원실)>
이소영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의왕시·과천시)은 28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국회입법조사처와 공동으로 ‘그린 AI 성장전략 세미나’를 열고, 탄소중립 시대 인공지능(AI)의 전략적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재생에너지 예측 ▲자율주행 기반 전력 효율화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 문제 등 기후·에너지 전환 분야에서의 AI 적용 가능성과 과제를 다각도로 검토했다.
김승완 한국에너지공과대 교수는 첫 발제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과 실시간 송전망 운영 등에서 AI의 활용이 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과 전력망 병목 현상이 AI 산업의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력회사, 기자재 업체, 계통운영자가 함께 표준화된 데이터센터 모델을 구축해 전력망과의 연계를 선제적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희정 한국스탠포드센터 선임연구원은 “전기차·자율주행·V2X 기술이 상호작용하며 모빌리티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를 만들고 있다”며,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통해 AI와 에너지 산업이 함께 진화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병권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은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AI 기술에도 환경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며, “인공지능기본법에 기후·생태적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이효섭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부사장, 이완재 현대자동차 자율주행인지기술뱅가드팀 팀장, 국회입법조사처 이승만·정준화 입법조사관 등이 참여해 AI 기술의 실용성과 탄소중립 전략 간의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다.
이소영 의원은 “AI의 전력 소비 문제만을 우려할 것이 아니라, AI가 기후위기 대응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며 “전동화,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화라는 3대 기후전략에 AI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관후 국회입법조사처 처장은 “이번 세미나는 산업과 환경, 기술이 만나는 융복합 과제를 공론화한 의미 있는 자리”라며 “AI와 기후 전략의 연결이 대한민국 미래 정책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소영 국회의원을 비롯한 정관계 인사들이 '그린 AI 성장전략 세미나'를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소영 의원실)>
이소영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의왕시·과천시)은 28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국회입법조사처와 공동으로 ‘그린 AI 성장전략 세미나’를 열고, 탄소중립 시대 인공지능(AI)의 전략적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재생에너지 예측 ▲자율주행 기반 전력 효율화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 문제 등 기후·에너지 전환 분야에서의 AI 적용 가능성과 과제를 다각도로 검토했다.
김승완 한국에너지공과대 교수는 첫 발제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과 실시간 송전망 운영 등에서 AI의 활용이 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과 전력망 병목 현상이 AI 산업의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력회사, 기자재 업체, 계통운영자가 함께 표준화된 데이터센터 모델을 구축해 전력망과의 연계를 선제적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희정 한국스탠포드센터 선임연구원은 “전기차·자율주행·V2X 기술이 상호작용하며 모빌리티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를 만들고 있다”며,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통해 AI와 에너지 산업이 함께 진화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병권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은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AI 기술에도 환경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며, “인공지능기본법에 기후·생태적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이효섭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부사장, 이완재 현대자동차 자율주행인지기술뱅가드팀 팀장, 국회입법조사처 이승만·정준화 입법조사관 등이 참여해 AI 기술의 실용성과 탄소중립 전략 간의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다.
이소영 의원은 “AI의 전력 소비 문제만을 우려할 것이 아니라, AI가 기후위기 대응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며 “전동화,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화라는 3대 기후전략에 AI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관후 국회입법조사처 처장은 “이번 세미나는 산업과 환경, 기술이 만나는 융복합 과제를 공론화한 의미 있는 자리”라며 “AI와 기후 전략의 연결이 대한민국 미래 정책의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