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조 6천억 투입 ‘장애인 자립’…“삶을 바꾸는 지원에 나섰다”

공공일자리부터 기회소득까지… 경제 자립 향한 22개 일자리 사업 가동
체험홈·자립주택 180호 운영… 지역사회 정착 위한 주거 기반 마련
활동지원·평생교육 확대… 자립 전후 끊김 없는 생활서비스 제공

2025.04.01 08:44 입력 조회 2,901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그래픽보도자료_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지원정책(1).jpg

 

경기도가 장애인 자립을 위한 정책에 사상 최대 규모 예산을 편성했다. 2025년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시행계획에 따라 총 1조 5,977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주거, 생활지원 등 3대 영역 43개 세부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장애인의 삶을 바꾸는 이 계획을 들여다본다. <편집자>

 


자립형 일자리 5천억 원…경제적 자립 지원 본격화


 

 

경기도는 5,559억 원을 들여 공공일자리 4,944개, 맞춤형 일자리 775개 등 총 5,700개 일자리를 마련한다. 특히 공공일자리는 복지기관과 행정기관 등에서 사무보조와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중증장애인의 직업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또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훈련생 1,592명에게는 월 16만 원의 기회수당이 지급되며,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에 참여한 장애인에게는 기회소득이 별도 제공된다. 누림통장을 통한 자산 형성도 지속 지원된다.



체험형·생활형 주거공간 180호…단계적 정착 기반 마련


 

 

경기도는 독립적 주거를 희망하는 장애인을 위해 자립생활주택, 체험홈 등 180호를 운영한다. 또 초기 자립 준비에 필요한 정착금도 함께 지원해, 지역사회 정착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총 예산은 81억 원이다.

 

실제 학대 피해 후 자립주택에 입주한 발달장애인 A씨는 주거전담인력과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아 건강관리, 일상생활, 동아리 활동까지 참여하게 됐다. '하고 싶었던 삶'이 '할 수 있는 삶'으로 바뀐 사례다.

 


발달장애인 방과후 서비스·건강관리까지 전방위 생활지원


 

 

1조 337억 원이 투입되는 자립 전·후 생활지원 분야는 경기도 자립정책의 핵심이다. 재가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립욕구 실태조사, 자립전환지원단 운영, 활동지원서비스 확대, 평생교육센터 운영 등 발달장애인의 지속적인 자립을 뒷받침할 사업이 포함됐다.

 

안마사 자격을 취득한 시각장애인 B씨는 경기도의 특화형 일자리 사업에 참여해 50여 개 경로당을 순회하며 경제적 자립은 물론 지역 봉사활동에도 나서고 있다. 자립의 성공모델로 주목받는다.



전국 최대 규모, 실효성 중심 예산 편성


 

 

2025년 자립지원 예산은 국비 9,067억 원, 도비 1,539억 원, 시군비 5,371억 원으로 구성됐다. 경기도는 지난해 맞춤형 일자리 사업 726명 참여, 자립주거지원 141호 운영, 자립생활지원 7,565명 지원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장애인 자립은 선택이 아닌 권리이며, 자립생활을 지역사회 안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겠다”며 “사회적 변화에 맞춘 맞춤형 자립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송세용 기자 edit@fp-news.co.kr]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