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2025 경기공유학교’ 전면 시행
지역 특성 반영한 680개 프로그램 운영
온라인 시스템 도입… 학생 참여·접근성 확대
대학연계·학생기획형 등 유형 다양화 추진
2025.04.01 11:54 입력
조회 3,581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025년 경기공유학교’를 도내 31개 지역에서 본격 시행한다. 지역사회 협력을 기반으로 학교 밖 학습 생태계를 확장해 학생의 선택권과 학습 다양성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경기공유학교는 지역의 교육 인프라와 특성을 활용해 ▲지역맞춤형 ▲학생기획형 ▲대학연계형 ▲수업위탁형 ▲학점인정형 ▲공헌형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도교육청은 미래 융합형 모형 발굴을 통해 유형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는 도내 31개 지역에서 총 680여 개의 지역맞춤형 프로그램이 개설되었고, 이 중 19개 지역은 3월 말 기준으로 수업이 이미 시작됐다. 나머지 12개 지역도 순차적으로 학생을 모집해 수업을 개설할 예정이다.
교육 활동은 각 지역별 수요를 반영해 ▲인성 ▲인문·사회 ▲수리·융합과학 ▲AI·디지털 ▲생태·환경 ▲문화예술 ▲체육 ▲글로컬 언어 ▲진로 등 세부 영역으로 구성된다. 특히, 지역 대학을 기반으로 하는 ‘대학연계형’ 유형은 220여 개 강좌가 심의를 통과해 개설될 예정이며, 수강 신청 후 최종 개설 강좌가 확정된다.
‘학생기획형’ 공유학교는 학생들이 직접 기획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498개 학교가 지원했고, 도교육청은 3단계 심사를 거쳐 318개 학교를 최종 선정해 4월부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올해부터는 '경기공유학교 온라인시스템'이 새롭게 도입돼 프로그램 개설, 강사 등록, 학생 모집 등의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에는 출결관리, 학습이력 확인, 이수증 발급 기능까지 포함해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공유학교는 원하는 배움이 다 되는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를 지향한다”며 “온라인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2025년 경기공유학교’를 도내 31개 지역에서 본격 시행한다. 지역사회 협력을 기반으로 학교 밖 학습 생태계를 확장해 학생의 선택권과 학습 다양성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경기공유학교는 지역의 교육 인프라와 특성을 활용해 ▲지역맞춤형 ▲학생기획형 ▲대학연계형 ▲수업위탁형 ▲학점인정형 ▲공헌형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도교육청은 미래 융합형 모형 발굴을 통해 유형을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는 도내 31개 지역에서 총 680여 개의 지역맞춤형 프로그램이 개설되었고, 이 중 19개 지역은 3월 말 기준으로 수업이 이미 시작됐다. 나머지 12개 지역도 순차적으로 학생을 모집해 수업을 개설할 예정이다.
교육 활동은 각 지역별 수요를 반영해 ▲인성 ▲인문·사회 ▲수리·융합과학 ▲AI·디지털 ▲생태·환경 ▲문화예술 ▲체육 ▲글로컬 언어 ▲진로 등 세부 영역으로 구성된다. 특히, 지역 대학을 기반으로 하는 ‘대학연계형’ 유형은 220여 개 강좌가 심의를 통과해 개설될 예정이며, 수강 신청 후 최종 개설 강좌가 확정된다.
‘학생기획형’ 공유학교는 학생들이 직접 기획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498개 학교가 지원했고, 도교육청은 3단계 심사를 거쳐 318개 학교를 최종 선정해 4월부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올해부터는 '경기공유학교 온라인시스템'이 새롭게 도입돼 프로그램 개설, 강사 등록, 학생 모집 등의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에는 출결관리, 학습이력 확인, 이수증 발급 기능까지 포함해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공유학교는 원하는 배움이 다 되는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를 지향한다”며 “온라인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