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한국은행 경기본부, 외국인 인구변화 대응 정책 머리 맞댔다

외국인 고령화·1인 가구 증가 등 구조 변화에 맞춘 실효성 있는 정책 논의
이민사회국 신설·사회통합 실태조사 등 전국 최초 정책 추진 주목
산학연 전문가 한자리에…중소기업 인력난 대응 방안도 집중 협의

2025.04.02 17:45 입력 조회 2,749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정책협의회+(1).jpg
<경기도와 한국은행 경기본부 관계자들이 '2025년 상반기 정책협의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도청에서 한국은행 경기본부와 함께 ‘외국인 인구구성 변화와 지원방안’을 주제로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2일, 진행된 협의회는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고령화, 1인 가구 확대 등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고, 외국인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 회의는 2022년 체결된 경기도-한국은행 경기본부 업무협약에 따라 추진되는 공동 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올해로 네 번째다.

 

이날 회의에는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과 장정석 한국은행 경기본부장을 비롯해 아주대학교 신선호 교수, 이민정책연구원 김도원 부연구위원, 경기도외국인인권지원센터 오경석 소장, 중소기업중앙회 김형우 부부장, 안산시 최해연 전문위원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올해 1월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외국인 인구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고용 불안 등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외국인을 위한 주거·복지·노동 등 분야별 정책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용호 중소기업중앙회 부부장은 “외국인 근로자 고용 현장에서 언어 장벽, 이직 요구, 고용 비용 부담이 여전히 크다”며 “언어·문화 교육 강화와 숙련인력 체류자격 전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두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체류 외국인을 단순한 방문자가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외국인 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외국인 주민은 245만9,542명이며, 이 가운데 경기도에는 80만9,801명(32.9%)이 거주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지난해 외국인 정책 전담부서인 이민사회국을 신설했으며, 앞으로도 외국인 주민이 지역사회 안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정책 기반을 차근차근 넓혀갈 계획이다.

[송세용 기자 edit@fp-news.co.kr]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