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육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269차 이사회에서 '미래 대학입시 개혁안'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269차 이사회에 참석해 ‘미래 대학입시 개혁안’을 공유하고, 대학 측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일, 진행된 간담회는 지난달 27일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제안한 입시제도 개편안에 대해 대학 측과의 첫 공식 소통으로, 협의회 임원 26명이 참석했다. 임 교육감은 “학교 현장뿐 아니라 대학도 공감하고 인정하는 평가시스템을 만들겠다”며,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입시제도를 함께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개혁안에는 ▲학생 내신 평가 5단계 절대평가 도입 ▲2026학년도 중학교 1학년 입학생부터 서‧논술형 지필평가 점진적 확대 ▲203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전면 절대평가 및 서‧논술형 평가 적용 ▲수능 시기 조정 및 수시‧정시 통합 전형 운영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대학 총장들은 경기도교육청의 제도 개혁 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입시제도의 공정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달라”, “학생들의 학업 부담이 줄어들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향후 대학과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임 교육감은 “공신력 있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새로운 입시제도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교육청의 대입 개혁안을 중심으로 대학과의 실질적인 소통을 시작한 첫 공식 협의로, 향후 교육계 전반의 변화 방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태희 교육감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269차 이사회에서 '미래 대학입시 개혁안'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제269차 이사회에 참석해 ‘미래 대학입시 개혁안’을 공유하고, 대학 측과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일, 진행된 간담회는 지난달 27일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제안한 입시제도 개편안에 대해 대학 측과의 첫 공식 소통으로, 협의회 임원 26명이 참석했다. 임 교육감은 “학교 현장뿐 아니라 대학도 공감하고 인정하는 평가시스템을 만들겠다”며,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입시제도를 함께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개혁안에는 ▲학생 내신 평가 5단계 절대평가 도입 ▲2026학년도 중학교 1학년 입학생부터 서‧논술형 지필평가 점진적 확대 ▲203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전면 절대평가 및 서‧논술형 평가 적용 ▲수능 시기 조정 및 수시‧정시 통합 전형 운영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대학 총장들은 경기도교육청의 제도 개혁 시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입시제도의 공정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달라”, “학생들의 학업 부담이 줄어들 수 있도록 배려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향후 대학과 지속적인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임 교육감은 “공신력 있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새로운 입시제도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교육청의 대입 개혁안을 중심으로 대학과의 실질적인 소통을 시작한 첫 공식 협의로, 향후 교육계 전반의 변화 방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