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시조 변경 논의 본격화…“큰고니, 생태 브랜드로 손색없다”

시의회·전문가·시민단체 한자리…“시민공감 없이는 무의미” 의견도
생태관광 자산 가치 강조…“지역 정체성 강화·국가정원 지정 연계 가능”
꿩 vs 큰고니 논쟁 촉발…“텃새의 역사성 vs 겨울철새의 상징성”

2025.04.03 18:31 입력 조회 3,687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DSC07249.JPG

<2일, 강성삼 하남시의회 의원과 하남시조변경운동추진위회가 주관한 '하남시 시조 변경을 위한 토론회'가 개최됐다. (사진=송세용 기자)>

 

하남시 시조 변경을 놓고 행정·시민·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하남시의회가 주최한 ‘시조 변경을 위한 토론회’가 하남시의회 의정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꿩’을 대체할 새로운 시조로 ‘큰고니’를 지정하자는 민간 제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첫 공식 자리다.


이날 좌장을 맡은 하남시의회 강성삼 의원은 “외향적 도시성장 속에서 내적 정체성도 함께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며 “도시의 상징물은 하남의 정체성과 품격을 동시에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토론회가 하남시 브랜드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C0115.MP4_20250403_075450.781.jpg
<서정화 하남시환경교육센터 센터장이 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발제자로 나선 서정화 하남시환경교육센터 센터장은 “큰고니는 1994년 처음 하남에 도래한 이후 최대 1,200마리 이상이 월동하며, 전국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철새 서식지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팔당대교 인근은 수심이 낮고 먹이가 풍부해 큰고니가 장기간 머물기 적합한 생태환경”이라며, “시조로 지정된다면 생태자산은 물론 교육·관광 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DSC07232.JPG

<이계숙 해양환경교육센터 대표가 큰고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토론자로 참석한 이계숙 해양환경교육센터 대표는 안산시의 시조 변경 사례를 소개하며 “생물 다양성 보존 가치, 시민 인식, 활용 가능성, 상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나무 (사)ESP 아시아 사무소 소장은 영국의 사례를 언급하며 “철새 보호와 생태관광이 결합한 모델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시민교육 효과도 크다”며, “하남도 슬리브리지 센터처럼 고니 서식지 보호와 체험교육을 연계한 복합 생태공간을 고민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C0117.MP4_20250403_075415.340.jpg
<오승철 하남시의회 의원이 토론에 임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오승철 하남시의회 의원은 “청정도시 하남의 이미지와 기후위기 대응을 연결할 수 있는 강력한 상징이 큰고니”라며 “단순한 시조 변경을 넘어 생태브랜드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조 변경운동을 오랜 기간 이끌어온 윤기수 추진위원장은 “21년간 시민이 지켜온 고니 서식지를 행정이 마침내 조명하게 된 점에 의미가 있다”며 “하남 시민의 생태적 자긍심을 되살릴 시점”이라고 말했다.

 

C0120.MP4_20250403_073731.485.jpg
<홍미라 기후위기 하남비상행동 상임대표가 토론회 질의응답 시간에 질의 등을 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토론회에 참석한 홍미라 기후위기 하남비상행동 상임대표는 “꿩과 큰고니 중 어느 쪽이 시조로 적절한지를 판단하려면 예산을 세워 조사부터 진행하자는 제안이 매우 바람직했다”며 “이번 토론회가 단순한 주장 경쟁이 아닌 시민 숙의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C0120.MP4_20250403_073738.501.jpg
<양인성, 유병기 前 문화원장이 하남시조 변경에 반대의 의견을 내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반면, 일부 참석자는 시조 변경에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양인선 前 하남문화원장은 “꿩은 연중 관찰 가능한 텃새이자 지역 정체성을 함께한 상징”이라며, “겨울철에만 잠시 머무는 큰고니를 시조로 삼는 건 시민 정서와 동떨어졌다”고 주장했다. 유병기 前 문화원장도 “시조는 역사성과 친숙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며, “변경 논의는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0120.MP4_20250403_073712.058.jpg
<박선미 하남시의회 의원이 토론회 질의 응답시간에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박선미 하남시의원은 “시조 변경이 특정 정당의 공약과 연결되며 정치적 논란으로 번지는 것은 우려스럽다”며, “시민 공감과 참여를 전제로 공정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징물 조례 개정안을 이미 발의했으며, 결정은 시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DSC07255.JPG
<강성삼 하남시의회 의원이 토론회 질의응답 시간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송세용 기자)>


이날 토론회에서는 시조 변경을 위한 향후 절차와 시민 의견 수렴 방안, 조례 개정 여부 등이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강성삼 의원은 “오늘 토론회는 공론화 과정의 첫 단계”라며 “시민과 함께 숙의해 하남의 정체성을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동부권취재본부 기자 edit@fp-news.co.kr]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