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특별점검 실시…“시민안전 최우선”
지반함몰 사고 계기… 지반안정·비상대응체계 등 37건 지적
전문가·외부 위원 참여해 3개 공구 전반 안전 점검
4월 중 안전진단·보완 시공 등 후속 조치 예정
2025.04.05 09:22 입력
조회 3,586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지역 안전 자문단과 관계자들이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을 방문해 점검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 지반함몰 사고를 계기로 지난 2일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시민 안전과 직결된 지하철 공사 현장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도심지와 인접한 광역철도 특성상 터널 시공에 따른 지반 안정성 확보와 비상대응 체계가 핵심 점검 대상이었다.
도는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총 3개 공구를 대상으로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인 구조 및 지반 전문가, 도로 및 안전 분야 자문위원, 도민감리단, 경기지하안전지킴이 등이 참여한 민관합동 점검을 진행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지반 붕락 가능성 ▲굴착부 막장면 및 변위 확대 여부 ▲지하수 유입과 천단 침하 현상의 계측 분석 ▲인접 건물·도로 침하 및 균열 발생 여부 등이다. 각 공구별 위험구간의 관리 체계와 비상 상황 대응 프로세스도 함께 확인했다.
점검 결과 총 37건의 지적사항이 도출됐다. 주요 내용은 ▲계측기 철저 관리 및 주기적 모니터링 ▲이상 징후 신속 대응을 위한 순찰 훈련 강화 ▲추가 GPR(지하레이더탐사)을 통한 지반 정밀 조사 ▲굴착 시 유출수 관리 강화 등이 포함됐다.
경기도는 이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각 공구별 자문 내용을 검토해, 필요 시 정밀 안전진단, 추가 GPR 탐사, 보완 시공 등을 이달 중 신속히 시행할 계획이다.
도는 아울러 광역철도 건설사업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사고 대응체계의 실효성과 유관기관 간 협력 시스템도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김기범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철저한 지하안전관리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철도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 지역 안전 자문단과 관계자들이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을 방문해 점검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경기도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 지반함몰 사고를 계기로 지난 2일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특별점검은 시민 안전과 직결된 지하철 공사 현장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도심지와 인접한 광역철도 특성상 터널 시공에 따른 지반 안정성 확보와 비상대응 체계가 핵심 점검 대상이었다.
도는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총 3개 공구를 대상으로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인 구조 및 지반 전문가, 도로 및 안전 분야 자문위원, 도민감리단, 경기지하안전지킴이 등이 참여한 민관합동 점검을 진행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지반 붕락 가능성 ▲굴착부 막장면 및 변위 확대 여부 ▲지하수 유입과 천단 침하 현상의 계측 분석 ▲인접 건물·도로 침하 및 균열 발생 여부 등이다. 각 공구별 위험구간의 관리 체계와 비상 상황 대응 프로세스도 함께 확인했다.
점검 결과 총 37건의 지적사항이 도출됐다. 주요 내용은 ▲계측기 철저 관리 및 주기적 모니터링 ▲이상 징후 신속 대응을 위한 순찰 훈련 강화 ▲추가 GPR(지하레이더탐사)을 통한 지반 정밀 조사 ▲굴착 시 유출수 관리 강화 등이 포함됐다.
경기도는 이번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각 공구별 자문 내용을 검토해, 필요 시 정밀 안전진단, 추가 GPR 탐사, 보완 시공 등을 이달 중 신속히 시행할 계획이다.
도는 아울러 광역철도 건설사업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사고 대응체계의 실효성과 유관기관 간 협력 시스템도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김기범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철저한 지하안전관리를 통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철도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