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 선정…외국인 인재 유치 본격화

E-7 비자 중 630명 쿼터 확보…12개 전략 산업 직종 중심
한국어 능력 보유자·학사 학위자까지 비자 요건 완화
‘단속’에서 ‘자발적 정착’으로…우수 인재 유치 체계 전환
기사입력 2025.04.03 18:06 조회수 3,038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경기도청-여름2.jpg
<경기도청 청사. (사진=송세용 기자)>


경기도가 법무부의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최종 선정돼 이달부터 경기도형 광역비자제도를 시행한다. 이번 사업은 내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외국인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역 산업 수요에 맞춘 인재 유치를 위해 법무부와 광역지자체가 공동 설계한 지역 맞춤형 체류 비자다. 이번에 경기도가 시행하는 광역비자는 특정활동(E-7) 비자 계열에 해당하며, 데이터·보안·로봇공학 등 12개 첨단 산업 직종이 대상이다.

 

도는 전국 E-7 계열 쿼터(1,210) 가운데 52%에 해당하는 630명을 배정받았다. 이에 따라 도는 산업현장 맞춤형 인재 선발과 비자 조건 설계를 직접 주도하게 됐다.

 

경기도형 광역비자 적용 직종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시스템·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정보 보안 전문가 전자·통신·로봇공학 기술자 데이터·네트워크 전문가 요양보호사 등 총 12개 분야다. 도는 이들 분야를 미래 전략산업의 핵심 직군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번 제도는 한국어 능력을 갖춘 외국인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 4단계 이상 이수자나 한국어능력시험(TOPIK) 4급 이상 보유자는 해당 직종과 학위 전공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1년 이상 경력이 있으면 도내 기업 취업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는 석사 이상 학위자만 가능했던 로봇공학 분야에 학사 학위자도 1년 이상 경력이 있으면 비자 취득이 허용된다. 요양보호사의 경우 내국인 고용 비율 기준이 20%에서 30%로 완화돼 외국인 고용 여건도 개선된다.

 

도는 이번 제도를 통해 외국인 단순 노동자 중심의 양적 도입에서 벗어나, 고급 인재 유치라는 질적 전환을 꾀한다는 구상이다. 체류 관리 방식도 단속 중심에서 우대·자발적 관리로 바꾸며, 안정적 정착과 근로 환경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원규 경기도 이민사회국장은 경기도형 광역비자는 글로벌 인재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고 첨단산업 육성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수 인재가 경기도에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송세용 기자 edit@fp-news.co.kr]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공정언론뉴스 & fp-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