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중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의원(국민의힘, 이천1)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정책토론회가 11일 이천시보건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 주최한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의 일환이다.
김일중 의원은 “교육격차는 단순한 자원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출발선이 달라지는 문제”라며, “이번 토론회가 경기도 전체의 균형 있는 교육 기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제발표는 김성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김 교수는 교육격차의 원인과 과정, 사회 변화에 따른 새로운 격차 요인을 진단하며, 단일 요인이 아닌 복합적 구조임을 강조했다. 입체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도 역설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교육 현장과 정책 관련자, 학부모, 학생이 각자의 입장에서 실질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지명 경기도교육청 학교교육정책과 과장은 “단순한 자원 격차가 아닌 지역 맥락에 따른 복합 구조”라며 ‘결핍 중심 보상’이 아닌 ‘성장 중심 필요 지원’으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위정 경기도교육연구원 미래연구부장은 AI와 디지털 전환, 이주배경 학생 증가 등을 새로운 격차 요인으로 들며, 공교육이 성적 중심에서 학생의 ‘존엄한 삶’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장 교사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최우성 다산고 교장은 통학 불편, 고교 서열화, 기초학력 저하 등 이천지역의 구체적 문제를 지적하며, 기숙사 지원·교통비 바우처·고교 평준화 등 7가지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김은미 도암초 학부모회 부회장은 ‘시설 격차’보다 ‘기대의 격차’에 주목했다. 지역과 가정, 학교가 아이들의 가능성을 믿고 응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회송 이현고 학생회장은 방과후 학습 커뮤니티,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디지털 수업 연수 확대 등 학생 시각에서의 제안을 제시했다.
현장 축사는 김경희 이천시장과 허 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장이 맡았으며, 송석준·김용태 국회의원, 김진경 의장, 임태희 교육감, 김동연 도지사,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 이애형 교육행정위원장 등은 영상을 통해 축사를 전했다.
김일중 의원은 “교육의 기회는 지역과 계층을 넘어 모든 아이들에게 공정하게 제공돼야 한다”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의견들이 실제 정책과 제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김일중 경기도의원을 비롯한 토론 관계자들이 ‘경기도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정책토론회를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일중 의원실)>
김일중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 의원(국민의힘, 이천1)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방안’ 정책토론회가 11일 이천시보건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 주최한 ‘2025 경기교육 정책토론회’의 일환이다.
김일중 의원은 “교육격차는 단순한 자원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출발선이 달라지는 문제”라며, “이번 토론회가 경기도 전체의 균형 있는 교육 기회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제발표는 김성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김 교수는 교육격차의 원인과 과정, 사회 변화에 따른 새로운 격차 요인을 진단하며, 단일 요인이 아닌 복합적 구조임을 강조했다. 입체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도 역설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교육 현장과 정책 관련자, 학부모, 학생이 각자의 입장에서 실질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지명 경기도교육청 학교교육정책과 과장은 “단순한 자원 격차가 아닌 지역 맥락에 따른 복합 구조”라며 ‘결핍 중심 보상’이 아닌 ‘성장 중심 필요 지원’으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위정 경기도교육연구원 미래연구부장은 AI와 디지털 전환, 이주배경 학생 증가 등을 새로운 격차 요인으로 들며, 공교육이 성적 중심에서 학생의 ‘존엄한 삶’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장 교사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최우성 다산고 교장은 통학 불편, 고교 서열화, 기초학력 저하 등 이천지역의 구체적 문제를 지적하며, 기숙사 지원·교통비 바우처·고교 평준화 등 7가지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김은미 도암초 학부모회 부회장은 ‘시설 격차’보다 ‘기대의 격차’에 주목했다. 지역과 가정, 학교가 아이들의 가능성을 믿고 응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회송 이현고 학생회장은 방과후 학습 커뮤니티,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디지털 수업 연수 확대 등 학생 시각에서의 제안을 제시했다.
현장 축사는 김경희 이천시장과 허 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장이 맡았으며, 송석준·김용태 국회의원, 김진경 의장, 임태희 교육감, 김동연 도지사,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의원, 이애형 교육행정위원장 등은 영상을 통해 축사를 전했다.
김일중 의원은 “교육의 기회는 지역과 계층을 넘어 모든 아이들에게 공정하게 제공돼야 한다”며, “오늘 논의된 다양한 의견들이 실제 정책과 제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